맨위로가기

이태규 (화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규는 한국 최초의 화학 분야 이학 박사로, 양자역학을 화학반응 연구에 도입한 과학자이다. 그는 1931년 교토 제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프린스턴 대학교 초청 과학자를 거쳐 교토 제국대학교 정교수를 역임했다. 해방 후 경성제국대학교 이공학부장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지냈으나, 1948년 미국으로 돌아갔다. 1955년 헨리 아이링과 함께 비뉴턴 유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리-아이링 이론'을 발표했으며, 1965년 노벨상 후보 추천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1992년 사망했으며, 한국 화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로시마 대학 동문 - 후지무라 오사무
    일본의 정치인 후지무라 오사무는 일본신당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정당을 거쳐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내각관방장관과 납치 문제 담당 대신을 역임했으며, 교통사고 고아 지원 활동과 나가타초의 도라에몽이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히로시마 대학 동문 - 구보 와타루
    구보 와타루는 일본 사회당, 사회민주당, 민주당에서 활동한 정치인으로, 참의원 의원 4선, 무라야마 내각 부총리 겸 재무상, 사회민주당 간사장, 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등을 역임하고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
  • 이론화학자 - 루돌프 마커스
    루돌프 마커스는 캐나다 출신의 미국 화학자로서 전자 전달 이론 연구로 199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RRKM 이론 개발에 기여했고, 여러 학술 단체 회원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저명한 학자이다.
  • 이론화학자 - 라이너스 폴링
  • 대한민국의 화학자 - 김승희 (1954년)
    김승희는 약학 및 화학 전문가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요 보직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에 지명되었으나 임명되지는 못했고 현재는 법무법인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화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태규 (화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태규 박사
이름이태규
출생일1902년 1월 26일
출생지대한제국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면 예산리 55번지
사망일1992년 10월 26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본관전주(全州)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박인근
정당무소속
학력
학력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경력
경력한국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대한민국 문교부 과학교육행정특보위원
가족 관계
부모이용균(부), 밀양 박씨(모)
자녀1남 3녀
아들이회인(李會仁)
형제이홍규(아우), 이완규(아우)
제수김사순
조카이회정
이회창
이회성
사돈강세형
김삼순
김홍용
김문용
김성용

2. 생애 및 업적

이태규는 한국 최초의 화학 분야 이학박사로, 양자역학을 화학 반응 연구에 도입한 선구적인 과학자이다.[10] 충청남도 예산군 출신으로,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초청 과학자로 재직하는 등 국제적인 학자로 활동했다.

광복 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나, 국대안 파동으로 인해 미국으로 건너가 헨리 아이링과 함께 ‘리-아이링 이론(Ree-Eyring theory)’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13][14] 이 이론은 비뉴턴 유동 현상을 설명하는 일반 공식을 제시하여 화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5년 노벨 화학상 후보 추천 위원으로 위촉되었고,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문, 유타 대학교 객원교수, 한국과학원 석좌교수 등을 역임하며 한국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후학을 양성했다.[10]

대한민국학술원상, 국민훈장무궁화장, 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받았으며, 5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0] 1992년 타계 후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한국 화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전주 이씨인 그는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지낸 이회창의 중부(仲父)이다.[10]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나 경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2년 일본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과정을 마쳤다. 1927년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였고, 1931년 〈환원 니켈을 이용한 일산화탄소의 분해〉라는 논문[11][12]으로 한국인 최초로 화학 분야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일본에서의 활동

1922년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과정을 마치고, 1927년 교토 제국대학 이학부 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31년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학위 논문은 《환원 니켈의 존재에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분해》이다.[4][5] 그 후, 교토 제국대학에서 교편을 잡았고, 1938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과학자로 재직했으며, 1941년 다시 교토 제국대학으로 돌아와 양자 화학을 가르쳤고, 1943년 정교수가 되었다.[10]

2. 3. 해방 후 한국에서의 활동과 도미(渡美)

1945년 광복 후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장을 맡았다. 이후 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문리과대학 학장이 되었으나, 국대안 파동의 여파로 1948년 미국으로 돌아갔다.[10]

1954년 학술원 종신회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55년 헨리 아이링과 함께 비뉴턴 유체에 대한 연구를 하여 ‘리-아이링 이론(Ree-Eyring theory)’을 발표하였다.[13][14] 비뉴턴 유동이론은 물체의 변형속도가 외부작용(stress)에 비례하지 않는 비뉴턴 유동에서 점도(viscosity)의 변화를 이론으로 설명한 것으로, 그동안 이론적 접근이 어려웠던 비뉴턴 유동현상을 다루는 일반 공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 4. 미국에서의 연구 활동과 리-아이링 이론

1938년 이태규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 초청과학자로 재직했다. 1941년 교토제국대학으로 돌아가 양자화학을 가르쳤고 1943년에 정교수가 되었다.[10]

해방 후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교 이공학부 부장을 맡았다. 이후 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문리과대학 학장이 되었으나, 국대안 파동의 여파로 1948년 미국으로 다시 돌아갔다.[10]

1955년 헨리 아이링과 함께 비뉴턴 유체에 대한 연구를 하여 ‘리-아이링 이론(Ree-Eyring theory)’을 발표하였다.[13][14] 비뉴턴 유동이론은 물체의 변형속도가 외부작용(stress)에 비례하지 않는 비뉴턴 유동에서 점도(viscosity)의 변화를 이론으로 설명한 것으로 그동안 이론적 접근이 어려웠던 비뉴턴 유동현상을 다루는 일반 공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 5. 노벨상 후보 추천 및 대한민국 과학계 기여

1965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후보 추천 위원으로 위촉되었고, 4년 뒤 후보로 추천되었다.[10]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문에 추대되었다. 1971년 미국 유타 공립대학교 객원교수, 1973년 한국과학원 석좌교수로 활약하였다. 1974년 태평양과학협회(미국 소재) 이사로 선임되었고, 1975년 이론물리센터 소장이 되었다.[10]

칠순을 넘긴 나이에 KAIST 명예교수로 초빙되어 박사 12명, 석사 24명 등 후진을 양성했다. 미국화학회의 표창을 받았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국민훈장무궁화장·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받았다. 〈수송현상(輸送現象)의 완화원리〉 등 5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10] 1992년 10월 26일 노환으로 91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한국 현대 화학의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 화학의 초석을 다진 공을 인정받아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 6.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시절과 말년

칠순을 넘긴 나이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로 초빙되어 박사 12명, 석사 24명 등 후진을 양성했다.[10] 1992년 10월 26일 노환으로 91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한국 현대 화학의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 화학의 초석을 다진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10]

2. 7. 수상 경력

미국 화학회 표창, 대한민국학술원상, 국민훈장무궁화장, 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받았다.[10]

3. 학력

4. 주요 경력

연도경력
1931년 ~ 1945년교토 제국대학 교수
1945년 ~ 1946년경성대학 이공학부장
1946년대한화학회 초대 회장
1948년 ~ 1970년유타 대학교 교수
1973년 ~ 1992년KAIST 명예교수


5. 명예 박사 학위

학교학위
서울대학교명예 이학 박사
서강대학교명예 이학 박사
고려대학교명예 이학 박사


6. 신조

'예리한 관찰과 끊임없는 노력'[15]을 신조로 삼아 연구 활동을 했다[9].

7. 상훈

8.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내박인근
장녀이주혜
차녀이신혜
삼녀이정혜
장남이회인 (1954 ~ )
남동생이홍규
조카이회영 (1929 ~ ?)
조카이회윤 (? ~ ?)
조카이회정
조카이회창
조카이회성
조카이회경 (1947 ~ )
남동생이완규 (1913 ~ 1999 이후)


참조

[1] 웹사이트 과학기술유공자< 과학기술유공자<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https://www.koreasci[...] 2021-07-12
[2] 웹사이트 화학 연구와 교육 기반 구축에 기여한 최초 화학박사, 故 이태규 KAIST 명예교수 https://m.post.naver[...] 2021-07-12
[3] 웹사이트 이회창 후보 가족관계 https://www.sedaily.[...] 2023-09-07
[4] 논문 還元ニッケルの存在に於ける一酸化炭素の分解(第1報)
[5] 논문 還元ニッケルの存在に於ける一酸化炭素の分解(第2報)
[6] 논문 "Theory of non-Newtonian flow. I. Solid Plastic System"
[7] 논문 "Theory of non-Newtonian flow. II. Solution System of High Polymers"
[8]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
[9] 간행물 과학동아 http://dongascience.[...]
[10]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
[11] 논문 還元ニッケルの存在に於ける一酸化炭素の分解(第1報)
[12] 논문 還元ニッケルの存在に於ける一酸化炭素の分解(第2報)
[13] 논문 "Theory of non-Newtonian flow. I. Solid Plastic System"
[14] 논문 "Theory of non-Newtonian flow. II. Solution System of High Polymers"
[15] 간행물 과학동아 http://dongasci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